티스토리 뷰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6가지 접근법
사회심리 현상은 매우 다양하므로 이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들도 매우 다양하다. 이 다양한 사회심리 이론들을 구성하는 핵심 내용을 통해 크게 몇 가지 접근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접근법은 크게 학습 접근, 인지 접근, 상호의존 접근, 동기 접근, 의사결정 접근, 사회문화 접근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접근법을 공격행동이 나타나는 과정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1. 동기 접근
사회행동을 인간의 동기, 즉 생물학적이나 심리적 욕구 요인들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능론 : 프로이트, 로렌츠, 맥두걸 등은 인간이면 누구나 선천적으로 지니고 태어나는 보편적인 생물학적 본능으로 사회행동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폭력행위를 인간의 공격적인 본능이나, 파괴본능으로 설명한다.
개개인의 차이에 관해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유전적 차이 : 유전자 구조의 차이가 행동의 차이를 낳는다.
XYY (모두 남성) 염색체를 가지면 범죄자가 될 확률이 높다.
본능이나 유전으로 사회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은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동기 : 사회화 과정에서 후천적으로 습득한 동기를 말하며, 성취동기, 친화 동기, 세력 동기 등으로 사회행동을 설명한다.
2. 학습이론 접근
사회행동의 원인으로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들로 행동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이 이론은 사회환경에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학습 과정이나 자기 행동을 스스로 강화하는 과정을 포함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학습 과정과는 별도로 동기가 유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회인지 이론을 제안하여 학습이론을 확장했다.
초기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연구하면서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무시하였으나, 최근 인지행동 주의 학습이론에서는 인간의 인지과정을 포함하여 사회행동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3. 인지 접근
사회행동이 사회상황에 대해 주관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달려있다고 주장한다. 사회상황에서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는데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방해되거나 위험이 된다고 주관적으로 지각하면 공격행동이 나타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인지접근을 통해 공격행동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사회상황이나 사람을 지각하고, 해석하고, 추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원리들을 알아내려고 한다.
80~90년대 유행했던 접근법으로 사회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 귀인과 사람에 관한 정보처리 과정을 다루는 사회인지의 연구가 주종을 이룬다.
초기 Lewin은 인간의 사회행동은 사람이 지닌 개인 특징들 (능력, 성격들)과 사회환경 요인들로 구성된 심리장에 개인이 지각하는 심리장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인지 접근은 사회행동의 원인을 해석하여 설명하는 귀인이나 사회심리 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추론하는 사회인지 과정 연구로 확장되었다. 객관적으로 발생했던 과거의 경험을 강조하는 행동주의와는 달리 인지 접근은 개인이 현재 당면한 사회상황을 주관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본다.
4. 의사결정 접근
인간은 부상을 획득하고 부담을 피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사회행동이 나타난다고 보는 접근법이다.
합리적 추론에 따라 여러 사회행동들 중 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한다고 본다. 이 접근에 따르면 공격행동은 개인이 당면한 사회상황에서 보상을 획득하거나 부담을 피하는 최선을 방식이기 때문에 선택되는 것이라고 본다.
의사결정 접근에 포함된 여러 이론들 가운데 유인 이론에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사회 행동들 가운데 긍정적 유인과 부정적 유인들을 가중하여 긍정적 유인에서 최고의 값을 지니는 행동을 선택한다고 설명한다.
이 과점에 따르면 공격행동으로 돈을 얻거나 인정을 받는 등으로 긍정적 유인이 크게 나타나면 비난과 처벌의 부정적 유인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공격 행동이 발생한다.
기대 X 가치 이론에서는 사회 행동 들 가운에 두 요인들을 곱한 값이 가장 큰 행동이 선택된다고 주장한다. 하나는 어떤 결과가 지니는 가치 이고, 다른 하나는 그 결과가 나타난다고 생각하는 주관적 개연성으로 이 주관적 개연성은 기대라고 부른다. 이 이론에 따르면 공격행동을 통해서 개인이 바라는 좋은 결과들을 얻을 확률이 높다고 보게 되거나 나쁜 결과가 나타날 확률이 낮다고 보게 되면 여러 사회 행동들 가운데 공격행동을 선택하게 된다.
의사 결정 접근은 인간이 합리적 추론을 거쳐 행동 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지만, 인간의 추론 과정이 비합리적인 경우가 많다는 이후 연구들에 의해 타당성이 제한받고 있다.
5. 상호의존 접근
사회관계를 형성하는 두 사람 이상의 관계에서 개인의 사회행동을 설명한다.
사회관계를 구성하는 개인이 얻는 보상이나 이익 가운데 일부가 타인에게 의존되어 있어 상호의존적일 때 두 사람이 관계를 맺고 있다고 정의하고 관계 내에서 일어나는 보상과 손실의 교환과정을 분석한다.
Kelley 와 Thibaut 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개인간의 대인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지만 집단 간 관계에도 적용되었다. 이 접근에 포함되는 사회교환이론은 학습이론과 의상 결정이론을 토대로 사회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개인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이익과 부담의 교환과정으로 설명한다. 원래 이 이론은 상호간의 흥정과정에서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초점을 두고 상호간의 이해가 타협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Kelley와 연구자들은 이를 친구나 가족과 같은 대인관계에도 적용하였다.
이후 Adams는 양자관계에서 형평의 원칙에 맞게 이익과 손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형평이론으로 확장하였다.
6. 사회문화 접근
사회문화 접근에서는 문화나 한 문화에 속하는 여러 하위문화에 따라서 인간의 사회심리와 행동이 달라지는 현상을 설명한다.
각 문화에 따라서 사회심리와 사회행동이 어떻게 다르며, 차이를 유발하는 문화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한다.
최근까지 사회문화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문화에 따라 개인주의-집합주의를 포함해서 여러 가지 중요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심리학 (0) | 2023.02.07 |
---|---|
학습이론 - 행동주의 심리학 (0) | 2023.02.06 |
교육심리학 (0) | 2023.02.05 |
성격심리학 - 어원 및 정의 (0) | 2023.02.04 |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