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격심리학의 개요
성격심리학은 인간의 성격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분야로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은 유형론과 특성론 2가지 방법으로 크게 나뉜다. 특성론은 성격을 여러 가지 특성의 점수로 파악하며, 유형론은 성격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대개의 사람들은 혈액형에 따라, 선호하는 색에 따라, 체형에 따라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려는 등 성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을 알고 이해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타인의 성격을 평가하고자 한다. 그러한 노력에도 성격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심리학자들 조차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어떤 면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성격의 정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성격이 무엇인지 정의를 하는 것은 어렵다. 성격을 정의 하기 위해서는 성격의 어원과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아야 한다.
2. 성격의 어원
성격이란 성품 性 과 격식 格 으로 이루어진다.
성격이란 내적인 성품과 외적인 격식으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성격의 영어적 표현인 Personality 는 그리스어의 persona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리스에 페르소나는 그리스 연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의미한다.
페르소나는 사람의 진짜 모습보다 배우가 가면을 쓰고 연기를 하는 것처럼 사람들이 사회 속에서 나타내는 사회적 이미지를 뜻한다. 즉, Personality란 사회라는 무대속에서 사람들이 보여주는 외적인 행동양상이다.
위의 두 어원에 따르면, 영어의 Personality와 우리말의 성격은 의미가 다소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 성격의 정의
성격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내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학자들의 경우 성격이란 "한 인간이 선척적으로 가지는 정서적, 정신적, 사회적 특질의 동일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외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학자들의 경우 성격이란 "사회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조직화된 행동 패턴"이라고 정의한다.
타인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과 개인차에 초점을 맞춘다면 성격이란 "타인들과는 구분되는 개인의 독특한 특성"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성격은 어디에 초점을 두드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2-1 주요 학자들의 성격에 대한 정의
- 올포트 : 성격은 드러난 행동과 감춰진 행동을 결정하며, 개인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게 해 주는 독특한 심리적 특성
- 주커만 : 시간의 흐름과는 상관없이 일관성 있는 행동 패턴
- 퍼빈과 올리버 : 어떤 개인의 규칙적인 감정, 사고 및 행동을 설명해 주는 특성들
카버와 샤이어 : 올포트의 정의를 수정하여, 그 사람의 행동과 사고 및 감정들의 비교적 일관되거나 안정된 특징적 양상을 만들어 내는 그 사람의 내부에 있는 심리생리적 체계들의 역동적 조직
2-2 학자들의 정의를 통한 성격의 특징
개별적인 특징들을 단순이 모아놓은 것이 아닌 조직이다. 성격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과정이며, 심리적인 개념이지만 생기적인 측면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사람이 사회, 세계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결정하는 내부의 원인적 힘이며, 행동과 사고 그리고 감정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드러날 수 있는데, 반복과 일관성으로 표현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성격은 정신의학영역에서 "인격"이라는 용어로 주로 사용된다. 심리학에서 "인성"이나 "인격" 등의 용어는 도덕이나 사회적 가치의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부분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반면, 성격은 모든 개인차를 취급하는 용어로 가치 평가를 개입시키지 않고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기질"은 타고난 성격의 원재료라는 측면에서 성격과 구분된다. "지능"이나 "체격"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성", "활동 수준", "사회성", 및 "충동성" 등에서 출생부터 상당히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개인차가 발견되고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심리학 (0) | 2023.02.07 |
---|---|
학습이론 - 행동주의 심리학 (0) | 2023.02.06 |
교육심리학 (0) | 2023.02.05 |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6가지 접근 (0) | 2023.02.04 |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0) | 2023.02.03 |
댓글